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건축][BIM]BIM을 해야할까?

 몇년전 부터 BIM제출을 의무화 한다는 소리를 들었다. 그만큼 BIM의 중요성을 어느정도 인식한것으로 보인다.

 근데 왜 BIM을 해야할까? 그리고 왜 BIM이 대두되기 시작햇을까? 짧은 지식으로 얘기 해보려 한다.

기: MckinseyReport - 제조업에 못미치는 AEC 생산성

REINVENTING CONSTRUCTION: A ROUTE TO HIGHER PRODUCTIVITY - McKinsey



  사건의 발단은 이렇다. 현장에서 열심히 구르고, 사무소 한구석에서 도면치고 있는 사람들에게 난데없이 보고서 하나가 날라왔다. 요지는 남들 생산성이 날아다니는 동안 건축은 발전이 없다는 소리다. 반성하라고 하며 성공한 사례도 소개해줬다. 제조업에서 배울점이 많단다.
 이 사실에 반박하고 싶었다. 우리도 뭔가 할 수 있는걸 보여주고 싶었다.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이걸로 우리도 뒤지지 않는다는걸 보여줘야겠다.
 그럼 BIM은 무엇인가? 다음은 The US National Building Information Model Standard Project Committee(대략 미국 BIM 표준화 협회 정도 될 것 같다.)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is a digital representation of phys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a facility. A BIM is a shared knowledge resource for information about a facility forming a reliable basis for decisions during its life-cycle; defined as existing from earliest conception to demolition.
 영어가 길다. 맨 앞 한문장을 통해 뒤의 것들을 이룬다는 소리니 맨 앞문만 알면 된다. 즉 어느 시설의 기능적 물리적 성질을 디지털(컴퓨터라고 해도 될것 같다)로 표현한 것. 좀더 쉽게는 3d 모형에 각 건물 요소들의 정보가 들어간 것 이라고 볼 수 있겠다. 이 개념만 보면 요즘 얘기가 나오는 Digital Twin과 궤가 통하는 점을 볼 수 있다.

승: BIM을 잘하기 위해서 필요한 IFC

 제조업에서 배우라는 의미는 무엇일까? 한마디로 표현하면 '표준화' , '자동화', '분업화'를 통해 매끄럽게 일 하란 소리다.
IFC 개념

(출처 : https://www.researchgate.net/profile/Behnam_Atazadeh/publication/318108510/figure/fig1/AS:511945616310272@1499068754459/Hierarchical-storage-of-building-information-in-IFC-standard.png)

 벽을 모델링해보자. 라이노 등 BIM 속성을 정의 할 수 없는 프로그램에선 네모지고 얇은 상자를 올리고 레이어 이름을 벽으로 지정하는 방식 등으로 벽이라고 얘기한다. 사람의 입장에선 벽이지만, 컴퓨터의 입장에선 Geometry, 그냥 형상이다.
 ifc를 이용하는 BIM모델은 형상에 속성값까지 들어있다. 조적벽을 모델링 한다고 생각해보자. 열관류율 등의 속성들이 이미 들어있고, 모델링을 시작할때 조적벽이라고 정의하고 시작했기 때문에 나중에 물량 산출등이 용이하다. 이미 표준을 정한 후 시작하는 것이다.
 만약 모든 건축 요소에 속성값이 들어가있다면? 예를 들어 전구하나까지 모든게 속성이 들어가있다면, BIM 모델로 건물운영비, 일사량평가, 시공비 등을 예상 할 수 있다. 이런 정보가 얼마나 상세하게 들어갔는지는 LOD(Level Of Detail, Level Of Development) 로 표시한다.
 어쩃든 자유롭게 모델링을 하는게 아니라 표준화된 방식을 기반으로 하면, 각 표준부재들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도 미리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방식을 표준화 하기 용이해진다. 미래를 생각하면 로봇이 건물을 짓거나 하는 방식에도 큰 도움이 될거라 생각한다. BIM모델링 프로그램과 같이 나오는 공정관리 프로그램이 이를 반증한다고 생각한다.
 다만 건축에서 표준화의 단점도 존재한다. 들어간 노력에 비해 별 효용이 없을 수도 있다. 제조업 같은 경우는 엔진을 표준화 하거나, 나사하나를 표준화 하면 하나의 표준을 몇년간사용하거나 또는 몇천, 몇만개를 생산하는데 쓴다. 하지만 건축의 경우, 항상 다른 건물을 만들고 특히 외장의 경우엔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하나의 프로젝트에서 표준을 만들었다고해도 다음 프로젝트에선 맞지 않을 가능성이 꽤나 존재한다. BIM을 연구하시는 분들의 최대 고민거리가 이런게 아닐까?

전: 그렇다면 현장에선?

 결론부터 말하면 이상적으론 필요하다. 하지만 현실적으론 너무 멀었다. BIM이 무엇인지 다시 얘기하면 결국 3D 모델 + 표준화된 정보로 볼 수 있다. 하지만 현장 또는 공장에서 일하시는 분들은 3D도 못켜는게 현실이다. 거의 대부분 2D 도면만 참고하실 줄 안다. 좀 옆길로 새면 공간을 2D로 밖에 이해하지 못하는 아이러니가 생겨난 것이다.
 3D에 대한 이해도가 얼마나 낮냐면, 10대 건설사 중 한 곳의 과장님과 일했는데 3D모델을 킬줄 모른다. 국내최대 인테리어 업체도 3D 모델을 못켰다. 메이저 건축사무소가 2D로 잘못설계해서 3D로 다시 만들었다. 심지어 비정형 현장설치 분들도 3D 잘 못킨다. 모두다 2D로 풀어서 보여줘야 한다.


앙리 포시용의 형태의 삶
이 아저씨도 도면이 공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댔지본질은 아니라했는데, 왜 이렇게 됐을까?
(이미지 출처 =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E6013A5C21CCB11E)




 건설사,설계사,인테리어,시공사 모두다 3D를 제대로 하지 못한다는 소리다. 한 프로젝트 사례로 일반화하기는 어렵겠지만 동료들의 이야기를 들어봐도 전체적인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인다.

결: BIM을 해야할까?

 비록 갈길을 멀지만 해야한다. 그게 결론이다.그래도 쓰지 않을거라면 최소한 회사 내부 표준을 만들고 그것에 맞게 데이터를 만들면 된다. 그래야 나중에 본인들이 관리하기도 편하고, BIM데이터로 전환시키려고 할 떄 편할 것이다.


 BIM을 반대하거나, 무슨소용이야 라고 하시는 분들의 입장도 이해는 간다. 쓰는 사람도 별로 없고, 유용하게 쓰이지도 못하는 것 같고. 하지만 장점도 많이 있다. 예를들면 공정 간섭 확인, 에너지 시뮬레이션 등이 있다. 공정간섭만 미리 확인하고 해결 할 수 있어도 현장에서 소모되는 에너지와 비용을 훨씬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단순한 BIM의 사용을 넘어서 어떤 BIM프로그램을 사용하는가의 문제도 잇는데, 예를 들어 cloud base의 프로그램을 쓴다면, 더 많은 이점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플랫폼 안에서 작업하고, 각 참여주체들이 동시에 작업하면서 간섭부분을 미리미리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플랫폼안에서 한다고 가정햇을때, 데이터를 변환하면서 생기는 오류도 방지 할 수 있다. 
잘통합된 BIM 모델의 경우 - DDP
출처 = https://www.digitalproject3d.com/images/geometry-sm.jpg


 이런 BIM을 사용하는걸 추가적인 비용을 쓴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위에서 말햇듯이, 공정간섭을 미리 체크해주는 수준만 달성해도 현장에서 쓰일 비용을 엄청나게 아낄 수 있을 것이다. 다시말해, 건설 현장에서 BIM을 사용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더 큰 비용을 절감 할 수 있다는 얘기다.
 물론 BIM담당으로 참여한 업체 또는 주체가 제대로 할 수 있다는 가정이다. 이런 꼬리를 붙이는 이유는 어떻게 보면 조금 높은 수준의 기술이라는 이유로 사기치는 분들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BIM을 사용하려는 사람도 높은 이해도를 필요로 한다.
 어쩃든 제대로된 BIM과 프로젝트가 만나면 겉만이 아니라 안에도 제대로 된 건축을 하는게 가능하다. 더군다나 비용도 훨씬 절감할 수 있다.

댓글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건축][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비교

 실무를 하면서 라이노와 그래스호퍼를 많이 쓰게된다. 그러다보니 관련 지식도 쌓이고, 나 나름대로 정리도 하며 공유를 위해 글을 쓰기 시작했다. 앞으로 계획은 라이노와 라이노 안의 파이썬 스크립트 또는 그래스호퍼 연동으로 자동화 관련해서 다루려고 한다.  그 전에 왜 라이노, 그래스호퍼 그리고 파이썬을 쓰게 되게 됬는지 프로그램들 비교 후에얘기하고자 한다. 비교하려는 프로그램들은 다음과 같다. Rhino(RobertMcNell & Associates) 3d experience (Dassault Systemes) Revit (Autodesk)  세 프로그램 모두 써볼 기회가 있었고, 사용 빈도는 다음과 같다 Rhino >= 3d experience(CATIA) >>>>Revit HTML 소프트웨어 비교 Rhino 3dExpereince Revit 가격 995$ (영구 라이센스) 9,000~65,000$(유지비 6,246$ / 년) 2,642,640원 / 년 첫 프로젝트 1994년 3월/ 25m 크기 보트 1977년 / 미라주 전투기 정확하지 않음 파라메트릭 모델링 x(그래스호퍼로 가능) O(자체 모델링 + EKL(내부언어) 등) O(자체 모델링 + Dynamo) Rhino : 최고의 가성비 프로그램 장점 : NURBs 모델링 가능, 가장 저렴한 가격, API/SDK를...

[건축]파사드 컨설팅이야기 - 1편: 파사드 컨설팅은 왜 필요한가?

 나의 약 1년 9개월간의 파사드 컨설팅을 중심으로 파사드 컨설팅 이라는 분야를 이야기 해보겠다.  파사드 컨설팅이란?  파사드 컨설팅은 우리나라에 다소 생소한 개념이다. 우선 Facade가 무엇인지 간략히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구글 검색에 facade를 치면 다음과 같은 정의가 나온다.  건물의 얼굴, 열린 장소 또는 거리에서 보이는 주 입면.  아주 간단하게 건물의 입면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럼 왜 건물 입면에 컨설팅이 필요할까?  내가 참여하게 되었던 프로젝트를 생각해보며 적어보겠다. 파사드 컨설팅이 필요한 이유 1. 복잡해지는 형태  파사드는 건물의 외관이다.   즉, 누군가 건물을 봤을때 첫인상을 좌우하게 된다. 그래서 랜드마크나 기업 사옥을 건설할때 자주 건드리는 수단이 된다. 그리고 그 방향은 주로 DDP와 같이 유기적이거나 독특한 방향으로 가는 경우가 꽤나 있다. 박스에서 형태가 조금만 벗어나도 그것을 실체화 시키는데 큰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특히 모든 프로젝트는 정해진 예산과 시간이 있기 때문에 이 제약조건 안에서 문제를 해결하려면 기존의 방법으론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BIM과 비정형 사례로 항상 빠지지 않는다.  이 문제를 가장 깊이 고민하게 된 프로젝트는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가 아닐까 생각한다. 업계가 좁은지라 이 프로젝트에 연관된 몇몇 분들을 만날 기회가 있었고, 그 중 외관(Facade)을 시공한 '스틸라이프' 대표님과는 영종도 프로젝트를 한적도 있다.  좌우지간, DDP는 삼성이 시공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뒤엔 비정형 패널을 제작 설치하는데 특화된 '스틸라이프' 라는 업체와 파사드 컨설팅을 한 GT(Gehry Technologies)가 있었다.  프랭크 게리와 게리 테크놀로지스   수업시간에 들어봤을지 모르겠지만 게리는 Frank Gehry의 그 게리다. ...

일본 / 신오쿠보 / 도장집

신오쿠보에서 도장 만들기 1. 장소이전 이미 몇몇 블로그에서 정보를 찾아서 갔다. 하지만 문제는 장소를 이전했다는 사실이다. 또한 가격도 바꼈다. 다른 블로그에서 봤을 그 3층에 있고, 돈키호테 맞은편에 있는 도장집 겸 부동산집 2. 찾아가기 위치 〒160-0021 Tōkyō-to, Shinjuku-ku, Kabukichō, 2 Chome−19−11 新宿シャロームビル9F 다음과 같다. 히가시 신주쿠 역에서 서쪽(신주쿠방향)으로 걸어오는게 제일 빠르다고 나온다. 1층에 홍콩반점이 보이면 제대로 온 것. 3. 가격 변경 가격은 다음과 같다. 다른 블로그에서 엄청 쌋던거 같은데 조금 올랐다. 나 같은경우 한자로된 3글자 도장을 만들었고, 가격은 1000엔 들었다. 가격은 다음과 같은데 잘 나온느지 모르겠다. 여튼 이렇게 도장을 해결했다.